주거급여 vs 기초생활수급자 뭐가 다를까? 2025년 수급기준, 혜택, 조건 비교 총정리

 

📋 목차

“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어도 주거급여 받을 수 있나요? 


디노 버턴 커스텀스 by 디지털노마드

2025년,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이 어떤 것일지 헷갈리셨죠? 주거급여와 기초생활수급자는 겹치는 부분도 있지만, 신청 조건과 혜택 범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어요.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제도를 쉽게 비교하고, 내가 어떤 제도에 해당하는지, 수급 혜택은 얼마나 다른지를 표로 정리해 알려드릴게요!

 

소득은 되는데 왜 주거급여만 되고 기초수급은 안 될까?
👉 2025 소득기준표 보기

✅ 기초생활수급자와 주거급여 수급자의 차이점은?



주거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의 한 종류였지만, 2015년부터 독립된 제도로 분리됐어요. 
이제는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어도 주거급여만 단독으로 받을 수 있어요.


 

📋 제도별 간단 비교표

구분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수급자
지원 범위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주거 (월세·수선)
소득기준중위소득 30~40% 이하중위소득 47% 이하
재산 기준더 엄격함조금 완화됨
의료급여1종 또는 2종 자동 포함일부 포함 가능

정리하면, 기초생활수급자는 더 많은 혜택을 받지만, 조건도 더 까다롭고 엄격해요. 

반면 주거급여는 상대적으로 문턱이 낮아요.

 

✅ 2025년 소득기준 비교


두 제도는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판정을 해요. 기초생활수급자는 중위소득 30~40%, 주거급여는 47% 이하여야 해요.

 

📊 2025년 중위소득 기준

가구원 수 기초수급 (30%) 주거급여 (47%)
1인684,000원1,071,600원
2인1,141,000원1,786,940원
4인1,777,800원2,785,220원

즉, 기초생활수급자는 더 엄격한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하고, 주거급여는 비교적 완화된 기준이 적용돼요.

디노 버턴 커스텀스 by 디지털노마드

 

✅ 재산기준 차이점


재산 기준도 달라요. 기초생활수급자는 재산이 5천만 원 이상이면 거의 탈락이고, 주거급여는 그보다 완화된 수준이에요.

 

📦 포함 재산 항목 비교

  • 예금, 적금, 주택, 토지, 전세보증금, 차량 등
  • 기초수급은 차량 1대만 허용, 고급차 불가
  • 주거급여는 소형차, 1,600cc 이하 무관

재산이 많다면 기초수급보다는 주거급여만 단독 신청하는 전략이 더 유리할 수 있어요.

 


✅ 의료급여 연계 여부 비교


기초생활수급자 중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는 자동으로 의료급여 1종 또는 2종이 적용돼요. 주거급여 수급자는 소득기준에 따라 의료급여 적용 여부가 달라져요.

 

💊 의료급여 유형별 비교

구분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수급자
적용 유형의료급여 1종 또는 2종비적용 (특정 조건 시 가능)
입원 본인부담0% ~ 10%건강보험 기준 적용
외래 본인부담최대 2,000원 정액최대 30% 부담

복지혜택 중 의료비 감면은 기초수급자가 월등히 유리해요. 

병원비가 부담된다면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 조건을 고려해보세요.

 

✅ 중복 수령 가능한가요?


기초생활수급자 중에서도 주거급여를 함께 수령할 수 있어요. 
특히 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는 주거급여가 자동 포함돼요.

 

📌 예시 사례

  • 4인가구, 소득 170만 원, 재산 2천만 원
  •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 → 생계 + 의료 + 주거 + 교육 전부 수령
  • 단, 자산·소득 조금 초과 시 → 생계급여는 탈락하고 주거급여만 수급

즉, 주거급여는 단독 수급도 가능하고, 기초생활수급자의 일부로 포함될 수도 있어요.

 

✅ 수급 혜택 비교: 금액, 범위, 대상


💰 수급 혜택 총 비교표

항목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수급자
현금지원생계급여 최대 160만 원없음
의료지원진료비·약값 전액 또는 정액 지원일반 건강보험
주거지원임대료 전액 또는 일부임차료 최대 32만 원
이사비·정착비지자체 연계 시 지원이사비, 수선비 별도 지원

기초생활수급자가 받을 수 있는 항목이 많지만, 조건이 맞지 않는다면 주거급여만 단독으로 신청해도 꽤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
 

✅ 신청 자격이 안될 때 대안은?


기초생활수급자는 탈락했는데 주거비가 부담된다면, 주거급여 단독 신청을 적극 추천해요.

💡 단독 신청 팁

  • 모의계산기에서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47% 이하면 가능
  • 재산이 많다면 부채 신고를 통해 환산액 줄이기
  • 고령자, 장애인, 질환자는 예외 인정 항목 활용 가능

기초수급보다 문턱이 낮고 신청도 간단하니 꼭 계산기 돌려보세요!

 
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전기세 아끼는 첫 걸음! 에어컨 청소했나요?

써큘레이터 vs 선풍기, 진짜 차이점은?

2025년 의료급여 신청방법 A to Z